디자인&프로그램 13

블로그 방문자 수를 2배 늘리는 파비콘 만들기 : 무료 사이트 활용법

파비콘 무료 사이트 추천 및 활용 방법안녕하세요! 오늘은 웹사이트 브랜딩에 중요한 요소인 파비콘(favicon)을 무료로 제작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하려고 해요. 파비콘은 웹브라우저 탭, 북마크, 주소창 등에서 표시되는 작은 아이콘으로, 사이트의 아이덴티티를 돋보이게 해주죠. 이 글에서는 파비콘을 쉽게 만들고 활용하는 방법과 다양한 무료 사이트를 알려드릴게요.파비콘이란?➡️ 파비콘의 정의파비콘은 즐겨찾기(favorites)와 아이콘(icon)의 합성어로,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작은 이미지예요. 브라우저 탭이나 북마크에서 표시되며, 사용자가 여러 탭을 열었을 때 특정 사이트를 빠르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파비콘의 중요성파비콘은 단순히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고..

디자인 퀄리티를 높여주는 무료 아이콘 사이트 모음, 어디서 찾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블로그 디자인이나 콘텐츠 제작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무료 아이콘 사이트들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아이콘 하나로도 콘텐츠의 가독성과 시각적 매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답니다. 다양한 스타일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사이트들을 알아보고, 여러분의 블로그나 프로젝트에 활용해보세요!다양한 스타일의 아이콘을 한 곳에서, The Noun ProjectThe Noun Project는 "세계적인 시각적 언어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이트로, 전 세계 디자이너들이 매일 새로운 아이콘을 업로드하고 있어요. 500만 개 이상의 예술적인 아이콘을 제공하며, 특히 픽토그램 형태의 심플한 아이콘을 찾고 계신다면 최고의 선택이 될 거예요.The Noun Project는 Edward Boatman, Sofy..

홍보물 디자인 전 필수 확인! 리플렛, 팜플렛, 브로슈어, 카탈로그 차이

리플렛, 팜플렛, 브로슈어, 카탈로그는 모두 인쇄물을 의미하지만 각각의 차이점이 있어요. 헷갈릴 수도 있는데, 한 번 정리해볼게요!리플렛 (Leaflet)특징: 한 장짜리 종이를 접어서 만든 인쇄물형태: A4 또는 A3 용지를 2~3번 접어서 사용 (2단 접지, 3단 접지 등)목적: 행사, 홍보, 안내, 광고 등 짧고 간결한 정보 전달예시: 지하철역에서 나눠주는 할인쿠폰, 병원에서 주는 진료 안내문👉 리플렛은 간단한 정보 전달용! 한 장짜리 인쇄물을 접어서 만든 거라고 보면 됨!팜플렛 (Pamphlet)특징: 여러 장의 종이를 묶지 않고 접어서 만든 책자 형태형태: 스테이플러로 제본하지 않은 얇은 종이 묶음목적: 비교적 상세한 정보 제공 (제품 설명, 회사 소개 등)예시: 대학 홍보물, 여행지 소개 책..

👉 "TrueType vs OpenType 차이점 총정리! 어떤 글꼴을 써야 할까?"

OpenType 글꼴과 TrueType 글꼴의 차이는 글꼴의 형식, 기능, 확장성 등 여러 가지 요소에서 나타납니다. 두 글꼴은 모두 디지털 폰트 형식이지만, 용도와 기능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죠.1. TrueType(TTF) 글꼴이란?TrueType은 1980년대 후반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공동 개발한 글꼴 형식이에요. 당시 어도비(Adobe)의 포스트스크립트(PS) 글꼴이 인쇄 산업에서 강세를 보이자, 이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죠.특징:벡터 기반의 글꼴곡선 표현을 위해 2차 베지어 곡선을 사용해요.단일 파일 구조TTF 파일 하나만 있으면 글꼴이 적용돼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어요.윈도우와 macOS에서 사용 가능초창기에는 맥 전용이었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지원하면서 윈도우에서도 사용 가능해졌어..

여러 개의 워드 문서를 하나로 합치는 3가지 쉬운 방법 (삽입 기능, 복사 & 붙여넣기, 매크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 개의 워드 문서를 하나로 합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문서를 합치는 작업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필요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팀 프로젝트에서 각 멤버가 작성한 보고서를 하나로 통합해야 하거나, 여러 챕터로 나뉜 자료를 하나의 파일로 정리하고 싶을 때가 있죠.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는 이러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어요. 지금부터 제가 그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드릴게요.워드 문서 하나로 합치는 이유문서를 하나로 합치는 것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요. 첫째, 여러 개의 문서를 일일이 열지 않고 하나의 파일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어서 훨씬 편리해요. 둘째, 파일 관리를 쉽게 할 수 있고, 문서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점도 중..

엑셀 단축키로 작업효율 높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엑셀 단축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엑셀을 자주 사용하다 보면 마우스로 일일이 클릭하는 것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릴 때가 있는데요, 이럴 때 단축키를 사용하면 작업 속도가 크게 향상된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를 소개하고, 각 단축키의 활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엑셀 기본 단축키엑셀 단축키는 작업 효율을 높이는 데 매우 유용해요. 예를 들어, 셀을 복사하고 붙여넣기할 때 단축키를 사용하면 마우스 클릭보다 훨씬 빠르게 작업할 수 있어요. 가장 기본적인 단축키부터 알아볼게요.Ctrl + C : 복사Ctrl + V : 붙여넣기Ctrl + X : 잘라내기이 세 가지 단축키만 알아도 작업 속도가 크게 빨라진답니다. 또한,Ctrl + Z : 작업 ..

엑셀에서 텍스트 줄 바꾸기 간단한 방법들 알아봐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엑셀에서 줄바꾸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줄을 바꿔서 내용을 입력해야 할 때가 많은데요, 간단한 단축키만 알아두면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된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 줄바꾸기의 기본적인 방법부터 응용 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엑셀에서 줄바꾸기 기본 방법엑셀에서 줄바꾸기를 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셀 안에서 줄을 바꾸는 것이에요. 셀 안에서 줄을 바꾸고 싶다면, 줄을 바꾸고 싶은 위치에서 Alt + Enter 키를 누르면 돼요. 이 방법은 한 셀에 여러 줄의 내용을 입력해야 할 때 매우 유용하답니다.예를 들어, 여러 사람의 이름을 한 셀에 입력하고 싶을 때 Alt + Enter 키를 사용하면 이름마다 줄이 바뀌어서 정리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비뚤어진 스캔 PDF 똑바로 보정하는 방법(어도비 아크로뱃 프로)

어도비 아크로뱃 프로에서 비뚤어진 스캔 PDF 똑바로 보정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스캔을 한두 장 하는 거면 별 문제없겠지만 여러 페이지를 스캔하는 경우 일일이 한 장씩 스캔하기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한꺼번에 스캔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렇게 한꺼번에 스캔을 하는 경우 아무리 문서를 조금씩 넣는다 해도 비뚤어지게 나오곤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비뚤어진 스캔 PDF 파일을 글씨 안 깨지게 똑바로 보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알고 보면 아주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니 잘 따라와 주시기 바랍니다. 너무 간단해서 따라 하실 필요도 없으니 그냥 봐주시면 됩니다. 여러 페이지의 문서를 를 스캰했더니 위에 그림처럼 스캔이 비뚤어져 보입니다. 문서 → 스캔한 PDF 최적화하는 문구가 보입니다. 스캔한..

인쇄 여백 주는 이유 방법

가끔 디자인 일을 하다 보면 손님이 직접 디자인해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디자인 프로그램을 배우고 본인 취향에 맞게 디자인해서 본인만의 디자인을 만들고 싶으신 분들이 간혹 계십니다. 그런데 사이즈에 딱 맞게 가져오시는 분들이 허다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인쇄 여백 주는 이유와 방법을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인쇄 여백이 왜 필요하지? 그냥 딱 맞게 하면 되지 인쇄 여백이 왜 필요한지도 모르는 분들이 계십니다. 내가 원하는 디자인의 바탕이 흰색이면 여백을 안 줘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바탕에 그림이나 사진, 색이 입혀져 있다면 엽서를 만들든 브로셔를 만들든 책자를 만들든 인쇄 여백은 꼭 필요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인쇄물 사이즈에 맞게 재단을 쳐야 하는데 여백 없이 딱 맞는 사이즈로 작업을 하면 재단 치는 ..

인디자인 슬러그 뜻

인디자인 작업하시는 분들은 다 아는 슬러그에 관해 얘기해 보려 합니다. 슬러그는 이미지를 넣거나 바탕에 색을 줄 경우 도큐멘트 바깥쪽으로 배열할 때 한계선을 표시합니다. 문서 설정할 때 직접 지정할 수 있으며 사진에 보이는 가장 바깥쪽 부분을 말합니다. 이미지나 배경을 배열했을 때 재단 시 여백이 생기지 않게 하는 목적으로 다찌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도련 라인에 영향을 받으므로 도련과 동일한 수치를 지정하는 걸 권장합니다. 보통 인디자인 작업하시는 분들은 슬러그가 크게 의미는 없고 도련만 잘 설정하면 됩니다. 재단은 위 그림에서 보듯이 도큐멘트 사이즈로 되며 인쇄는 도련 라인까지 되므로 슬러그는 개념만 알고 계서도 될듯합니다. 저도 문서 만들기 할 때 슬러그는 0으로 두고 아예 지정하지 않습니다. 오늘은..